아이의 체온이 평소보다 높다면 부모는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유아의 발열은 면역 체계가 싸우고 있다는 자연스러운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정확한 체온 측정법부터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해결 방법, 그리고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상황까지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유아 체온, 올바르게 측정하는 방법
정확한 체온 측정은 적절한 대처의 첫걸음입니다. 측정 방법에 따라 정상 체온 범위가 다르므로, 올바른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직장 체온(항문 측정): 가장 정확하며, 38℃ 이상이면 발열로 판단합니다.
- 귀 체온(고막 체온계): 빠르고 편리하지만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38℃ 이상이면 발열로 간주합니다.
- 겨드랑이 체온(액와 측정): 직장 체온보다 낮게 나올 수 있어, 37.5℃ 이상이면 발열로 판단합니다.
- 구강 체온: 어린아이에게는 추천되지 않으며, 37.8℃ 이상이면 열이 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유아 발열 해결 방법
아이가 열이 났다면, 부모가 할 수 있는 첫 번째 조치는 체온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입니다.
✅ 미온수 마사지: 미지근한 물을 이용해 아이의 몸을 부드럽게 닦아주세요. 찬물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으니 피해야 합니다.
✅ 수분 보충: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물, 모유, 분유 또는 이온음료를 공급하세요.
✅ 가벼운 옷 입히기: 너무 두껍게 입히면 오히려 체온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 해열제 사용: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계열) 또는 이부프로펜(부루펜 계열)을 아이 체중에 맞게 투여할 수 있습니다. 단, 의사의 지시 없이 과다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3. 꼭 준비해야 할 상비약품
유아가 있는 가정이라면 다음과 같은 상비약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해열제: 타이레놀 시럽, 부루펜 시럽 등 연령별 복용 가능한 제품
- 체온계: 디지털 체온계, 귀 체온계 등
- 수분 보충제: 경구 수액(ORS)이나 어린이용 전해질 음료
- 쿨링 패드: 응급 시 사용할 수 있는 냉각 시트
4. 응급실에 가야 하는 경우
단순한 발열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3개월 미만 영아의 발열(38℃ 이상): 면역력이 약해 세균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열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단순 감기가 아닐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경련을 동반한 경우: 열성 경련은 응급상황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으로!
🚨 호흡 곤란, 의식 저하: 아이가 처지거나 숨쉬기 어려워하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 발진, 구토, 심한 탈수 증상: 감염이나 기타 질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무리
유아의 발열은 부모에게 큰 걱정거리지만, 올바른 체온 측정과 적절한 조치로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급한 상황이 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세요. 건강한 아이의 성장을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